아래는 제가 중학교 1학년 올라가는 아들을 위해서, 수 많은 자료들(유튜브와 기타 자료)을 보고 나름대로 정리한 내용입니다.
혹시, 중학생 자녀들에게 도움이 될까 싶어서, 나름 정리한 내용을 올립니다.
아래 내용을 중심으로 아들과 함께, <자신에게 맞는 공부법>을 찾는 재미가 쏠쏠했습니다.
아들은 자기에게 아빠가 관심을 두는 것에 대해서 만족했고, 저는 제 아들이 <스스로 공부법>을 찾아가는 과정이 대견스러웠습니다.
물론, 완벽한 100%를 성공하지는 못했지만(불가능합니다.^^),
독립적으로 공부하는 방법의 첫 단추를 꿰었다는 것에 의미가 컸습니다.
현재는, 자기한테 맞는 공부법과 계획표를 스스로 세워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.
물론, 컴퓨터도 중간 중간에 열심히 하면서...ㅎㅎㅎㅎ
아래 내용 많은 분들께 도움되었으면 합니다. 감사합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아래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중학생의 수학 공부법
1. 기본 원칙: 많은 문제를 접해보기
수학은 다양한 문제를 풀어보는 것이 가장 중요함.
같은 공식을 적용한 여러 유형의 문제를 풀면서 개념을 확실히 익히기.
2. 교과서 문제 완벽히 마스터하기
교과서 문제 2~3회 반복 풀이 (무조건 풀어보기).
틀린 문제는 이유 분석 → 교과서에 체크 후, 오답 노트 정리 .
교과서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면 문제집(쎈, 개념원리 등)으로 확장 .
3. 개념별 문제 풀이 전략
개념별 문제풀이 를 위해 큐비(혹은 개념별 문제집) 활용.
특정 개념이 약하다면 그 개념과 관련된 문제를 집중적으로 풀어보기.
4. 속도 &정확성 훈련
타이머를 활용하여 문제 풀이 속도 체크 .
속도와 정확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도록 시간 제한을 두고 연습 .
실전 감각을 익히기 위해 학교 기출 및 예상 문제 풀이 .
5. 오답 노트 활용법
틀린 문제는 그냥 넘어가지 말고 오답 노트에 정리 .
틀린 원인 분석 : 개념 부족인지, 계산 실수인지 구분.
비슷한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비슷한 유형의 문제를 추가로 풀어보기 .
6. 서술형 문제 대비
풀이 과정을 논리적으로 정리하는 연습이 필요함.
답만 맞히는 것이 아니라 풀이 과정까지 정확하게 쓰는 연습 .
개념을 친구나 가족에게 설명해보면서 이해도를 높이기 .
7. 꾸준한 복습과 실전 연습
매일 일정량의 문제를 풀어보는 습관 만들기.
틀린 문제는 반복해서 풀어보고 완벽히 이해할 때까지 복습 .
시험 전에는 실전처럼 시간을 정해놓고 모의고사 방식으로 연습 .
'독립적인 자녀 만들기 교육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래에 각광받는 직업 Best 20(전망 높은 일자리) (0) | 2025.03.08 |
---|---|
새학기 자사고, 과학고, 영재고 준비 중학교 과학 공부 방법 (0) | 2025.03.05 |
새학기 자사고, 과학고, 영재고 준비 중학교 사회, 역사 공부 방법 (0) | 2025.03.05 |
새학기 자사고, 과학고, 영재고 준비 중학교 영어 공부 방법 (0) | 2025.03.05 |
새학기 자사고, 과학고, 영재고 준비 중학교 국어 공부 방법 (0) | 2025.03.05 |